증여세 면제 한도액
2025. 8. 10. 22:16ㆍ카테고리 없음
증여세 면제 한도액 상세 안내
증여세는 타인에게 재산을 무상으로 이전할 때 부과되는 세금이지만, 일정 한도액까지는 과세가 면제됩니다.
이 한도는 증여자와 수증자의 관계, 수증자의 나이, 그리고 증여 목적에 따라 달라집니다.
면제 한도는 10년 단위로 계산되며, 한 번에 전액 증여하지 않더라도 10년간 누적 금액을 합산해 한도를 적용합니다.
따라서 장기적인 계획을 세우면 세금 부담을 크게 줄일 수 있습니다.






1. 증여세 면제 한도액 부부 간 증여
배우자에게 증여할 경우 10년간 6억 원까지 면세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
법률혼 관계가 기준이며, 사실혼 관계는 해당되지 않습니다.
이 금액을 초과한 부분에 대해서만 증여세가 부과되며, 초과분은 과세표준에 따라 세율이 적용됩니다.
2. 증여세 면제 한도액 성인 자녀 및 직계존속 간 증여
성인 자녀나 손자녀에게는 10년간 5천만 원까지 증여세가 면제됩니다.
예를 들어 부모가 자녀에게 3천만 원, 조부모가 손자녀에게 2천만 원을 증여하면 각각 별도의 한도가 적용됩니다.
다만, 동일 증여자로부터 받은 금액이 한도를 넘으면 초과분은 과세 대상입니다.






3. 증여세 면제 한도액 미성년 자녀 증여
만 19세 미만 미성년 자녀는 한도가 낮아 10년간 2천만 원까지 면제됩니다.
교육비나 생활비 명목으로 지원하는 경우에도 증여로 간주될 수 있으므로, 증빙 자료를 준비하는 것이 안전합니다.
4. 증여세 면제 한도액 형제자매 및 기타 친족 증여
형제자매 또는 6촌 이내 혈족, 4촌 이내 인척에게는 10년간 1천만 원까지 면제됩니다.
이 금액은 수증자 기준으로 계산되므로, 여러 명으로부터 받은 금액이 합산되어 한도를 넘으면 세금이 부과됩니다.






5. 증여세 면제 한도액 혼인·출산 특례
직계존속이 혼인 또는 출산 전후 2년 이내에 증여하는 경우, 기본 한도에 추가 1억 원이 더해집니다.
즉, 성인 자녀 기준 기본 5천만 원 + 혼인·출산 특례 1억 원으로 최대 1억 5천만 원까지 면제됩니다.
이는 한 번만 적용되며, 혼인과 출산 모두 해당해도 중복 적용되지 않습니다.
6. 증여세 면제 한도액 면제 한도 계산 방식
면제 한도는 10년간 누적 기준으로 적용됩니다.
예를 들어 2015년에 3천만 원, 2020년에 2천만 원을 받으면 10년 합산이 5천만 원이므로 추가 증여 시 세금이 부과됩니다.
10년이 지난 금액은 한도 계산에서 제외되므로, 장기적으로 나누어 증여하는 것이 절세에 유리합니다.






7. 증여세 면제 한도액 증여세율과 유의사항
한도를 초과하면 증여세율이 적용되며, 과세표준에 따라 10%부터 최대 50%까지 부과됩니다.
증여 시 반드시 증여세 신고를 해야 하며, 신고 기한은 증여받은 달의 말일부터 3개월 이내입니다.
허위 신고나 누락 시 가산세와 과태료가 발생할 수 있으니 주의해야 합니다.
또한, 세무 전문가와 상담하면 상황에 맞는 절세 전략을 세울 수 있습니다.
정리: 증여세 면제 한도는 부부 6억 원, 성인 자녀 5천만 원, 미성년 2천만 원, 형제자매 1천만 원, 혼인·출산 특례 시 최대 1억 5천만 원입니다.
모든 한도는 10년간 누적 기준이므로, 증여 시기와 금액을 계획적으로 조정하면 세금 부담을 크게 줄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