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 취득세 및 중개수수료

2025. 8. 3. 09:37카테고리 없음



부동산 취득세 및 중개수수료 총정리 (2025년 기준)



부동산 매매 시 가장 먼저 계산해야 할 비용은 취득세중개수수료입니다.
이 두 가지는 거래 금액과 지역, 주택 수, 주택 유형에 따라 달라지므로 사전에 정확하게 확인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1. 취득세 요율 및 기준


취득세는 부동산을 취득할 때 납부하는 세금으로, 주택 가격에 따라 기본 세율이 다릅니다.

- 주택 가격 6억 원 이하: 1%
- 주택 가격 6억 초과 ~ 9억 이하: 2%
- 주택 가격 9억 초과: 3%

다주택자 또는 조정대상지역 내 매입의 경우, 위 기본 세율보다 중과세율(최대 12%)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생애최초 주택 구입자는 최대 200만 원까지 감면 혜택이 제공되며, 기준은 매년 조정됩니다.

2. 중개수수료 요율표


중개보수는 부동산 거래 금액에 따라 정해진 법정 상한요율 안에서 중개사와 협의하여 결정됩니다.
주택 매매 시 요율표:
- 5천만 원 미만: 0.6% (상한 25만 원)
- 5천만 원 ~ 2억 원: 0.5% (상한 80만 원)
- 2억 원 ~ 9억 원: 0.4%
- 9억 원 ~ 12억 원: 0.5%
- 12억 원 ~ 15억 원: 0.6%
- 15억 원 초과: 0.7%
임대차(전·월세) 계약 시:
- 보증금 + (월세 × 100) 계산 후 동일한 요율 적용
- 상한액은 매매와 다르므로 구체적 계약서 기준 확인 필요

3. 계산기 사용 팁


- 거래금액, 주택 수, 조정대상지역 여부 등 선택 항목을 정확히 입력해야 세금 계산 정확도가 올라갑니다.
- 인터넷에서 제공되는 계산기는 단순 참고용으로, 실제 납부 세액은 관할 시·군·구청 고지서를 기준으로 해야 합니다.

4. 주의사항 및 기타 비용


- 취득세 외에도 인지세, 채권 매입비용, 등기비용, 법무사 수수료 등 부대비용이 발생합니다.
- 중개수수료는 법정 상한을 초과해 요구할 경우 불법이므로 계약 전에 미리 확인해야 합니다.

마무리


부동산 취득세와 중개수수료는 거래 전 반드시 확인하고 예산에 포함시켜야 할 항목입니다.
특히 다주택자 또는 조정지역 매입 시엔 세율이 크게 올라갈 수 있으므로 꼭 계산기를 활용해 시뮬레이션 해보는 것이 좋습니다.
정확한 세금은 거래 전 세무전문가 또는 관할 시청에 문의해 확정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