쥐눈이콩 효능 먹는 방법

2024. 4. 14. 23:55카테고리 없음



쥐눈이콩 효능 먹는 방법

 

쥐눈이콩은 검은콩의 일종으로 껍질은 까맣고 크기는 보통 검은콩보다 훨씬 잘아 마치 쥐눈처럼 생겼다고 해 그런 이름이 붙여졌다고 한다. 서목태(鼠目太)라고도 한다. 산과 들에도 난다고 해 토종야콩으로 불리기도 했으며, 약성이 뛰어나 예로부터 식용보다는 약콩으로 쓰여 왔다고 한다.

쥐눈이콩의 효능은 오래전부터 여러 의서에서 인정해 왔다. 동의보감에는 ‘쥐눈이콩이 신장병에 좋고 기를 내려서 모든 풍열을 억제하며, 모든 독을 풀며, 혈액 순환을 활발하게 해준다’고 돼 있다고 한다.

쥐눈이콩 효능 먹는 방법

 

이뿐이 아니다. 본초강목에는 ‘신장병을 다스려 소변을 잘 통하게 한다’, 향약집성방에는 ‘중풍과 풍비, 산후의 냉혈증에 좋다’, 식료본초에는 ‘중풍, 산후의 모든 병, 심장병, 경련통 등에 좋다’, 명의별곡에는 ‘모든 약독을 풀어준다’, 신약본초에는 ‘당뇨병을 낫게 한다’고 돼 있다고 한다. 거의 만병통치약처럼 그 효능이 묘사돼 있다고 한다.

최근 쥐눈이콩의 이 같은 효능이 과학적으로도 확인되고 있으며, 얼마 전부터는 여기에서 한 걸음 더 나아가 쥐눈이콩이 피부노화 예방에도 좋다는 연구 결과가 속속 나오고 있다고 한다.

쥐눈이콩 효능 먹는 방법

 

한 연구논문에 따르면 쥐눈이콩의 추출물이 레티노산(retinoic acid) 수용체를 활성화해 피부노화 및 염증을 억제해 준다는 것이 보고돼 있다고 한다. 레티노산은 비타민A의 유도체. 비타민A산이라고도 하는데 상피 조직의 성장과 분화를 조절하고, 배아와 중추신경계의 발달에 관여하며, 조혈에도 매우 중요한 작용을 한다고 알려져 있다고 한다.

쥐눈이콩에는 콩의 일반적인 성분인 이소플라본 성분이 다량 함유돼 있어 이 성분들이 피부미용 효과를 나타낸다고 알려져 있다고 한다. 이뿐 아니라 쥐눈이콩에는 검은색 성분인 안토시아니딘이 함유돼 있다고 한다. 시아니딘(cyanidin), 델피니딘(delphinidin), 페튜니딘(petunidin) 등이 이에 속하며, 피부 염증 및 피부 주름 저해 효능을 보이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고 한다. 시아니딘은 자외선으로 인해 나타나는 피부 염증을 막아주며, 델피니딘은 활성산소를 생산하는 효소의 활동을 직접적으로 저해한다. 자외선에 의해 유도되는 활성산소는 직접적으로 피부에 주름을 만든다고 알려져 있어, 활성산소의 생산을 줄이면 피부 주름의 생성을 억제할 수 있다고 한다. 또한 페튜니딘은 자외선으로 유도되는 세포 사멸을 억제해 피부를 보호해 준다. 이렇게 쥐눈이콩은 콩의 일반적인 성분인 이소플라본은 물론 쥐눈이콩에만 특이적으로 함유돼 있는 안토시아니딘도 풍부해 피부미용 효과를 배가해 주는 것으로 생각된다.

쥐눈이콩의 효능은 피부 외에 여러 질환에서도 확인되고 있다고 한다.

쥐눈이콩 효능 먹는 방법

 

쥐눈이콩에 풍부한 불포화 지방산인 리놀렌산(linolenic acid)은 콜레스테롤을 녹여 주어 혈관을 청소하고 뇌졸중, 뇌출혈 등 심혈관계질환을 예방해 준다. 실제로 현미식초로 절여진 쥐눈이콩 종자를 섭취한 실험용 쥐의 혈중지질농도가 개선되고, 지방세포 크기가 줄어드는 효과가 보고된 바 있다고 한다. 또 쥐눈이콩에는 칼슘, 마그네슘, 포타슘, 엽산 등의 미네랄이 풍부하고, 염분 성분 함량이 적어 고혈압에도 좋다고 한다.

이와 함께 쥐눈이콩에는 레시틴이라는 성분이 풍부하게 함유돼 있는데, 이 레시틴 성분은 뇌의 신경전달물질 중에서 가장 중요한 아세틸콜린으로 합성돼 뇌의 활동을 촉진시켜줘 치매 예방에 좋고, 성장기 어린이들의 두뇌 발달에도 긍정적으로 작용한다.

쥐눈이콩 효능 먹는 방법

 

또한 쥐눈이콩에는 섬유질이 많아 혈당치가 상승하는 속도를 느리게 해줘 당뇨병의 예방과 치료에 효과적으로 작용하며, 당 분해를 촉진하는 비타민B1이 풍부해 혈당이 간이나 지방 세포에 쌓이지 않고 에너지로 바뀔 수 있도록 도와준다. 이를 뒷받침하는 연구 결과로 발효된 쥐눈이콩의 혈당 억제 및 간 보호 능력이 탁월하다는 보고도 있다고 한다.

한편 쥐눈이콩 껍질에 함유돼 있는 글리세린 성분을 중심으로 쥐눈이콩의 항암 효능에 대한 연구도 진행되고 있다고 한다. 최근의 연구 결과들을 보면 쥐눈이콩 종자 자체는 기능성이 없다는 보고가 있어, 새로운 기능성 연구를 위해 쥐눈이콩을 그대로 사용하기보다 다른 방법으로 가공하는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고 한다.